-
홈페이지 : culturecontents.konkuk.ac.kr
-
사무실 : 인문학관 교수연구동 110호
-
전화번호 : 02-450-3352
-
E-MAIL : kucc2010@gmail.com
학과소개
문화콘텐츠학과는 인문학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화콘텐츠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2010년 신설되었습니다. 21세기 신성장동력 분야인 문화콘텐츠산업은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캐릭터, 공연전시, 문화기획, 엔터테인먼트 산업, 첨단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획, 창작 인력을 새롭게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문화콘텐츠학과는 디지털 패러다임의 미디어 환경 속에서 문화를 주도하는 창의적인 기획자와 창작자의 양성을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인문학을 기반으로 한 다 학제적 이론 교육과 실무 현장 친화적인 실습 교육을 융합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문화콘텐츠학과 학생들은 학술답사와 현장실습, 산학 연계 인재 양성 프로그램, 학부-대학원 과정 연계 등을 통해 문화콘텐츠 전문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됩니다. 2008년부터는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 문화콘텐츠학과를 개설 운영해 문화콘텐츠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교육목표
“글로벌 기획력을 겸비한 창의적 콘텐츠 디렉터의 양성”
“인문학을 중심으로 한 융합형 교육”
을 교육 목표로 삼고 다음과 같은 인재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1. 문화콘텐츠 기획 전문가: 문화콘텐츠와 콘텐츠를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는 분석력을 바탕으로 대중이 원하는 콘텐츠를 기획하는 인재
2. 문화콘텐츠 제작 전문가: 문화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실제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술을 갖춘 인재
3. 콘텐츠 마케팅 전문가: 문화콘텐츠 산업과 타깃을 이해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며, 콘텐츠 분야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업할 줄 아는 인재
“인문학을 중심으로 한 융합형 교육”
을 교육 목표로 삼고 다음과 같은 인재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1. 문화콘텐츠 기획 전문가: 문화콘텐츠와 콘텐츠를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는 분석력을 바탕으로 대중이 원하는 콘텐츠를 기획하는 인재
2. 문화콘텐츠 제작 전문가: 문화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실제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술을 갖춘 인재
3. 콘텐츠 마케팅 전문가: 문화콘텐츠 산업과 타깃을 이해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며, 콘텐츠 분야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업할 줄 아는 인재
교육방법
1. 인문 바탕 인문, 기술, 마케팅 융합 교육
2. 탐사와 산학협력 강화를 통한 현장실습 운영
3. 분야별 겸임교수를 활용한 전문 실무교육 강화
4. 멘토링 시스템을 통한 개인 밀착교육 실시
5. 프로젝트 기반의 강의 수행
6. 해외연수 지원을 통한 외국어 및 글로벌 마인드 체험
7. 동아리 활동을 통한 실무능력 배양
2. 탐사와 산학협력 강화를 통한 현장실습 운영
3. 분야별 겸임교수를 활용한 전문 실무교육 강화
4. 멘토링 시스템을 통한 개인 밀착교육 실시
5. 프로젝트 기반의 강의 수행
6. 해외연수 지원을 통한 외국어 및 글로벌 마인드 체험
7. 동아리 활동을 통한 실무능력 배양
졸업 후 진로
사회진출
• 문화기획 전문가: 공연/전시/공간 콘텐츠 기획자, 게임기획자, 엔터테인먼트 매니저, 영상 기획자, 축제/이벤트 전문가, 출판물 기획 전문가 등
• 언론, 광고 및 아트 크리에이터: PD, 네이미스트, 공공기관 공보 담당관, 일반 회사/외국계 회사 홍보팀, 뉴미디어, 리포터, 방송기자, 성우, 신문/잡지사 기자, 아나운서 등
• 전문 매니저: 전문 콘텐츠 큐레이터, 박물관, 갤러리, 테마파크 등 매니저, 콘텐츠/힐링/헬스케어 매니저 등
• 기술 및 융합 전문가: IT/콘텐츠 컨설턴트, 방송 기술자, 웹 마스터, 게임 프로그래머, 디지털 콘텐츠 및 정보 자료 아카이빙 전문가, 디지털 콘텐츠&미디어 종사자
• 경영 및 마케팅 전문가: 글로벌 콘텐츠 기획 및 관리자, 콘텐츠 국제 마케터, 투자 유치 및 자금 관리자, 라이선싱/저작권 관리자
• 문화콘텐츠 관련 작가 및 제작/디자인: 콘텐츠 스토리텔러, 구성작가, 극작가, 방송작가, 일반작가, 만화가, 아바타 디자이너
• 언론, 광고 및 아트 크리에이터: PD, 네이미스트, 공공기관 공보 담당관, 일반 회사/외국계 회사 홍보팀, 뉴미디어, 리포터, 방송기자, 성우, 신문/잡지사 기자, 아나운서 등
• 전문 매니저: 전문 콘텐츠 큐레이터, 박물관, 갤러리, 테마파크 등 매니저, 콘텐츠/힐링/헬스케어 매니저 등
• 기술 및 융합 전문가: IT/콘텐츠 컨설턴트, 방송 기술자, 웹 마스터, 게임 프로그래머, 디지털 콘텐츠 및 정보 자료 아카이빙 전문가, 디지털 콘텐츠&미디어 종사자
• 경영 및 마케팅 전문가: 글로벌 콘텐츠 기획 및 관리자, 콘텐츠 국제 마케터, 투자 유치 및 자금 관리자, 라이선싱/저작권 관리자
• 문화콘텐츠 관련 작가 및 제작/디자인: 콘텐츠 스토리텔러, 구성작가, 극작가, 방송작가, 일반작가, 만화가, 아바타 디자이너
대학원 진학
• 취업 및 창업과 관련하여 전문 이론 및 실무지식을 심화 학습
• 미래 학자 또는 연구자로서 대학의 교수, 연구소의 연구원, 국가기관의 전문요원으로 진출
• 미래 학자 또는 연구자로서 대학의 교수, 연구소의 연구원, 국가기관의 전문요원으로 진출